프로필

경향신문에 난 기사

해피1909 2006. 4. 8. 16:21
2005년 4월 21일(목) 오후 4:30 [경향신문] 글씨크게+ | 글씨작게-
[커버스토리]‘결혼의 계절’에 돌아온 부조문화

청첩장이 ‘세금 고지서’처럼 느껴지는 계절. 이곳 저곳 챙기자니 주머니가 헐렁하다. 눈 딱 감고 갈 자리만 가려니 사람 사는 도리가 아닌 것 같고…. ‘삶의 작은축제, 경조사’의 부조는 얼마가 적당할까? 또 어디까지 챙겨야 하는 걸까?


#경조사, 갈까말까

교육전문회사에 다니는 유재훈씨. “각종 경조사 때문에 ‘비참한 주말’을 보내고 있다”고 하소연한다. 올해 직장생활 13년째를 맞는 유씨는 입사 후 지금까지 주말이면 직원들의 경조사에 참석하느라 그 흔한 가족나들이 한번 제대로 못했다. 그가 다니는 회사는 일의 특성상 직원의 90%가 미혼 여성. 그러다보니 주말이면 결혼식이 줄줄이다. 5월 중순까지 유씨가 받아놓은 결혼 청첩장만 9건. 예고 없는 초상이나 집들이, 돌잔치, 부모님의 회갑, 칠순까지 포함하면 1주일에 2~3건의 경조사는 기본이다.

“경조사 없는 나라, 대한민국 좋은 나라!”를 외치는 유씨지만 막상 현장에는 누구보다 먼저 가 있다. “경조사에 얼굴을 내미는 것이 사람의 도리이고, 또 회사에서 인사·관리를 담당하다 보니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말한다.

경조사를 기다리는 사람도 있다. 통신회사에 다니는 조응조씨다. IMF 구조조정으로 오랫동안 신입사원을 뽑지 않아 결혼 청첩장을 받아본 일이 까마득하다. 경조사라도 있어야 흩어져 근무하는 동료들도 만나고 그 핑계로 ‘손금(고스톱)’이라도 볼텐데…. 사내 게시판에 경조사방이 붙으면 잔칫날을 받아놓은 것처럼 설렌다.

#최고의 현금시장 ‘경조사’

‘큰 일이 닥쳤을 때 서로 돕는다’는 ‘상부상조(相扶相助)’의 정신이 부조, 곧 경조사 문화다. 한국소비자연구원이 1998년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연간 1인당 평균 11.4회의 경조사에 참석하고, 52만2천원의 경조사비를 지출한다. 평균 결혼축의금은 2만8천8백원이다. 결혼 축의금만 따지면 연간 1조7천억원의 현금시장으로 잠정 추산된다. 여기에 장례, 돌, 칠순까지 포함하면 ‘경조사’는 최고의 현금시장이 분명하다.

#얼마가 적당할까

2만원은 적고, 5만원은 부담스럽고…. 각종 경조사의 부조금은 얼마가 적당할까? 사실 수학공식처럼 얼마로 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공무원 사회에서는 ‘3만원 내외의 선물은 괜찮다’는 주장이다. ‘3만원’이 친척이나 특별한 관계가 아닌, 일반적인 관계에서의 적정 부조금이라는 해석이다.

국립민속박물관의 김시덕 연구원(유물과)은 ‘3만원’이란 금액은 홀수를 선호하는 동양문화에서 비롯된 금액이라고 설명한다. 동양문화에서 ‘3’은 천(天)·지(地)·인(人)의 조화이자 가장 안정적이고 완전한 수로 꼽힌다. 혼례문화를 연구하는 김정철 교수(대전 우송정보대학)는 일반 예식장에서 하객 1인의 식비를 1만5천~2만원선으로 잡을 때 최소 부조금은 ‘3만원’이라고 했다. 그러나 최근들어 호텔웨딩 등 예식의 고급화 경향이 늘어나면서 최소 부조금도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